전체 글22 고집이 강한 사람, 그 이유와 특징을 알아보자 고집 오로지 자기의 주장을 끝까지 내세우는 태도. 우리 주변에는 고집이 강해 다른사람들을 피곤하게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 사람들은 왜이렇게 자신의 주장을 고집하는 것 일까 ? 항상 만나는 가족, 직장상사 등의 사람들이 이러한 성향을 가지고 있다면 몹시 피곤할 것이다. 이 고집이 센 사람들의 성향을 파악해보자. 고집, 이유 및 특징 사람들은 보통 무의식적으로 자신이 남보다 우월해지기를 갈망한다. 적어도 자신이 아는 분야에서 만큼은 우월함을 유지하고 싶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게되면 너무나 괴로워서 고집을 부릴 수 있다. 더닝크루거 효과 고집이 강한 이유 중 하나로 더닝크루거 효과를 예로 들수있다. 지식 수준이 낮은 사람일수록 자신의 지식을 과대평가한다. 분명 잘못된 선택임에도 불구하고 .. 2022. 7. 13. 우리는 모두 가면을 쓰고 살아간다 (feat. 페르소나 ) 페르소나 페르소나(persona)는 심리학에서 타인에게 비치는 외적 성격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본래 페르소나는 그리스의 고대극에서 배우들이 쓰던 가면을 일컫는다. 이후 심리학적인 용어로 심리학자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이 만든 이론에 쓰이게 되는데 그는 인간은 천 개의 페르소나(가면)를 지니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 적절한 페르소나를 쓰고 관계를 이루어 간다고 주장한다. -위키백과- 가면을 쓰는 사람들 사람들은 모두 좋은 모습을 보이기 위해서 가면을 쓰고 살아간다. 어느정도 사회에서 필요한 스킬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가면을 쓴다고 너무 화낼 필요는 없다. 가면을 쓴 나와 가면을 쓰지않는 나 모두 우리의 모습인것이다.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술, 가면 가면을 쓰기 전에 타인과의 대화에서 자신을.. 2022. 7. 12. 육아 우울증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 (feat.육아 우울증 자가검진 체크리스트) 육아 우울증 출산 직후에 나타나는 산모의 우울증을 말합니다. 증상은 기분이 가라앉아 자꾸 눈물만 나고 자신이 무가치하게 느껴지며 불안, 초조하여 잠시도 편안히 있을 수 없습니다. 잠도 잘 안 오고 식욕도 없고 계속 부정적인 생각만 들어 심하면 자살 생각까지 하게 되고, 출산한 아이를 돌보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산모들이 출산 후 2주에서 늦게는 수개월 후까지 산후 우울증이 발병하며, 이중 몇몇은 증상이 심각하여 정신과 치료가 요구됩니다. (대한우울조울병학회) 원인 여러 원인들이 있지만 몇가지로 간추려서 설명하겠다. 아이를 출산하고 난 후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우울감이 생길 수 있다. 아이를 지속해서 케어함으로서 육체적 정신적 피로가 쌓였기 때문일 수 있다. 본인이 사랑받거나 .. 2022. 7. 11. 젊은층이 왜 우울감을 더 크게 느끼는가 ? 우울감 우울감은 근심스럽거나 답답하여 활기가 없다는 점에서 기분이 언짢은 느낌 또는 반성과 공상이 따르는 가벼운 슬픈 감정을 말한다. 젊은층의 우울 요즘 사회에서 크게 대두되는 점이 우울감, 우울증이다. 그 중 젊은층에서 우울증이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19∼29세 가운데 위험한 수준의 우울을 경험한 비율은 30대(24.16%), 40대(18.67%), 50대(18.67%), 60세 이상(13.24%) 등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연합뉴스- 점은층이 우울감을 크게 느끼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경험의 차이 나이가 많을수록 인생에서 얻은 경험이 많으므로 어떠한 부정적인 사건을 겪었을때 '그럴수도있지' '전에도 이겨냈었지' 라고 생각하며 우울감에서 벗어날 수 있는것이다. SNS의 영향.. 2022. 7. 7. 이전 1 2 3 4 5 6 다음